서울 시내의 한 저축은행.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금융권 전반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PF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PF 경·공매 실적을 매주 보고받기로 하는 등 구조조정에 고삐를 죄는 가운데, 급격히 늘어난 규제가 부동산금융에 부작용을 일으킬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특히 저축은행 업권의 부동산 PF 부실 우려는 여타 2금융권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나이스신용평가(나신평)가 발간한 ‘저축은행 부동산 PF 부실 정리 어디까지 왔나’ 보고서에 따르면 나신평이 평가하는(NICE Coverage) 저축은행 기준 부동산 PF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는 총 5조4000원이다. 나신평에 따르면 강화된 사업성평가 결과 저축은행 업권의 유의 및 부실우려 사업장은 27.7%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증권 및 캐피탈 업권의 부동산 PF 익스포저에서 유의 및 부실우려 사업장 비중은 각각 12.5%, 8.7%으로 저축은행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이어 더해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관련 추가손실 인식은 2025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나신평은 저축은행 부동산 PF의 질적 특성이 열위한 가운데, 매각 대상 PF사업장 규모도 더 크기 때문에 올해 하반기부터 유의 및 부실우려 사업장의 경공매를 통한 매각이 진행될수록 사업성이 열위한 사업장의 매각 비중이 높아지면서, 매각 과정에서 매각손실 규모가 증가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나신평은 ‘양호 및 보통’으로 평가된 PF사업장의 부진한 분양률과 2025년 상반기까지 집중된 만기구조, 그리고 2회 이상 만기연장된 대출 비중 등을 고려할 때 기존 양호 및 보통으로 평가됐던 대출 중 일부가 유의 혹은 부실우려로 재평가되면서 대손비용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최근 펀드(일명 ‘PF 정상화 펀드’)를 통한 저축은행 부동산 PF 부실처리 과정에서 ‘파킹(Parking) 거래’도 논란이 됐다. 부실정리가 아닌 시간벌기용 매각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면밀한 점검도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나신평은 “편법적 매각이 많아질 경우 부동산 PF 정상화는 좀 더 지연되고 추가 적립 필요 충당금도 더욱 증가할 것”이라며 “저축은행 업권의 부동산 PF 부실정리 속도는 2금융권 내 다른 업권 대비 다소 부진한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다만 양호한 자본적정성, 강화된 규제 및 감독수준 등을 고려하면 과거와 같은 저축은행 사태의 재현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캐피탈사 중에서는 부동산 PF가 자기자본의 100%를 넘는 회사 중 요주의이하여신 비율이 10% 이상인 곳들을 주요 모니터링 대상으로 꼽았다. 해당 캐피탈사는 DB캐피탈·메리츠캐피탈·신한캐피탈·한국캐피탈·한국투자캐피탈 등 5개 사다. 이 가운데 신한캐피탈은 신용등급 AA급이고, 나머지는 A급이다. 캐피탈사는 신용도가 A급 이상이어야 여전채 발행이 가능하다. 신용등급이 그 밑으로 조정되면 자금 조달에 어려 을 겪을 수 있다.
김성진 나이스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이들 회사의 대손준비금 조정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 수준까지 하락하고,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다른 캐피탈사의 약 3배에 이르는 등 건전성 저하 정도가 크다”며 “충당금 적립 수준도 비교적 낮아 향후 추가 손실 발생 가능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이코노미스트] 입력 2024-10-07 08:00
저축은행·캐피탈, 커지는 부동산 PF 부실…구조조정 통할까
[부동산 부실 공포]③
저축은행 PF 부실 우려, 타 제 2금융권보다 높아
PF 경·공매 시장 온기 ‘아직’…“근본적 대책 필요”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금융권 전반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PF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PF 경·공매 실적을 매주 보고받기로 하는 등 구조조정에 고삐를 죄는 가운데, 급격히 늘어난 규제가 부동산금융에 부작용을 일으킬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특히 저축은행 업권의 부동산 PF 부실 우려는 여타 2금융권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나이스신용평가(나신평)가 발간한 ‘저축은행 부동산 PF 부실 정리 어디까지 왔나’ 보고서에 따르면 나신평이 평가하는(NICE Coverage) 저축은행 기준 부동산 PF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는 총 5조4000원이다. 나신평에 따르면 강화된 사업성평가 결과 저축은행 업권의 유의 및 부실우려 사업장은 27.7%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증권 및 캐피탈 업권의 부동산 PF 익스포저에서 유의 및 부실우려 사업장 비중은 각각 12.5%, 8.7%으로 저축은행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또 나신평은 ‘양호 및 보통’으로 평가된 PF사업장의 부진한 분양률과 2025년 상반기까지 집중된 만기구조, 그리고 2회 이상 만기연장된 대출 비중 등을 고려할 때 기존 양호 및 보통으로 평가됐던 대출 중 일부가 유의 혹은 부실우려로 재평가되면서 대손비용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최근 펀드(일명 ‘PF 정상화 펀드’)를 통한 저축은행 부동산 PF 부실처리 과정에서 ‘파킹(Parking) 거래’도 논란이 됐다. 부실정리가 아닌 시간벌기용 매각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면밀한 점검도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나신평은 “편법적 매각이 많아질 경우 부동산 PF 정상화는 좀 더 지연되고 추가 적립 필요 충당금도 더욱 증가할 것”이라며 “저축은행 업권의 부동산 PF 부실정리 속도는 2금융권 내 다른 업권 대비 다소 부진한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다만 양호한 자본적정성, 강화된 규제 및 감독수준 등을 고려하면 과거와 같은 저축은행 사태의 재현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캐피탈사 중에서는 부동산 PF가 자기자본의 100%를 넘는 회사 중 요주의이하여신 비율이 10% 이상인 곳들을 주요 모니터링 대상으로 꼽았다. 해당 캐피탈사는 DB캐피탈·메리츠캐피탈·신한캐피탈·한국캐피탈·한국투자캐피탈 등 5개 사다. 이 가운데 신한캐피탈은 신용등급 AA급이고, 나머지는 A급이다. 캐피탈사는 신용도가 A급 이상이어야 여전채 발행이 가능하다. 신용등급이 그 밑으로 조정되면 자금 조달에 어려 을 겪을 수 있다.
김성진 나이스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이들 회사의 대손준비금 조정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 수준까지 하락하고,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다른 캐피탈사의 약 3배에 이르는 등 건전성 저하 정도가 크다”며 “충당금 적립 수준도 비교적 낮아 향후 추가 손실 발생 가능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평가했다.